분류 전체보기35 플라스틱 시대를 현명하게 살아가는 법 플라스틱 에이지라고 불리는 지금 플라스틱 사용을 단칼에 금지하는 거나 이를 대치할 획기적인 물질을 찾아내는 것은 현재로써는 어려운 문제로 또한 플라스틱을 대체할 물질이 또 다른 어떠한 악영향을 미칠지에 대한 논의도 뒷받침되어야 합니다. 그래서 우리가 지금 할 수 있는 것은 플라스틱 에이지의 지속성을 증대시키는 일일 수도 있습니다. 가장 쉬운 방법을 덜 쓰는 것으로 한 사람이 하루에 사용하는 양을 하나만 줄여도 전 세계에서 하루에 70억 개가 넘는 플라스틱 제품이 줄어드는 것처럼 덜 쓰고 아껴 쓰고 다시 쓰는 것이 일반시민들의 역할이라면 플라스틱의 난분해성을 극복할 방법을 찾는 것은 과학자의 역할입니다. 밀웜이라고 흔히 애완용 조류나 파충류의 먹잇감으로 알려진 애벌레가 하루에 소량이지만 롤리스태렌을 먹어치.. 2021. 8. 19. 창의적인 사고와 행동을 하기 위한 전략 정보를 아무런 비판 없이 흡수하는 능력을 키우는 것이 창의적인 사고와 행동을 하기 위한 방법으로 총 3가지의 효과를 가져온다고 합니다. 첫째, 새로운 것들을 의식하게 되는데 주변 세상에 큰 호기심이 생기고 온갖 종류의 새로운 정보를 비판 없이 받아들이게 되며 이를 통해 창의성과 혁신은 새로운 아이디어들을 조합할 폭넓은 지식기반을 필요로 하는 다양한 지식을 수집할 수 있게 됩니다. 둘째, 지금 풀기 위해 애쓰고 있는 문제들과 주변의 관련성이 더 잘보이게 됩니다. 창의성 연구자들은 이를 기회주의적 연상이라고 하는데 어느 날 문득 떠오르는 아이디어처럼 항상 그 주변에서 의도치 않게 발생하게 되기도 합니다. 셋째, 무의식에서 생겨나는 아이디어들을 잘 받아들일 수 있게 됩니다. 문제해결을 생각하지 않을 때 아이디.. 2021. 8. 11. 지구 바깥에서만 느낄 수 있는 지구의 속도는 시속 1674km라면 정말 어마어마한 속도인데 그 속에 있는 우리는 그 속도를 체감하지 못하는데 지구는 초속 32km의 속도로 태양 주위를 빠르게 움직이고 있습니다. 이는 총알보다 4배나 빠른 속도인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전혀 그 움직임을 느낄 수 없습니다. 이를 이해하기 위해 원운동을 알고 있어야 하는데 원운동이 유지되기 위해서는 구심력이 있어야 하며 지구 원운동의 구심력은 바로 중력으로 중력이 구심력의 역할을 잘하고 있기에 지구의 원운동은 계속 유지될 수 있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이렇게 빠른 속도로 움직이는 지구에 서 있는 우리는 원심력이라도 느껴야 하는데 실상 지구를 구성하는 것은 단순히 지구의 땅떵어리뿐만 아니라 1000km에 달하는 대기권도 함께 포함하고 있기에 이 대기권도 함께 자전하고 .. 2021. 8. 7. 흔들릴 수 있는 물체는 모두 고유진동수를 갖고 있다 고유진 도수란 그 물체만이 갖는 진동수라는 뜻으로 동일한 재질로 만들어진 물체라고 할지라도 물체의 크기, 질량, 모양에 따라 고유 진동수가 달라지는데 예를 들어 똑같이 크리스털로 만들어진 와인 잔이 두 개 있다고 하더라도 어느 한쪽이 크거나 작을 경우 또는 질량이나 모양이 다르면 두 와인잔이 고유 진동수 역시 다릅니다. 크리스털 와인잔처럼 하나의 재질이 아닌 여러 재질이 섞인 혼합물이나 건축물도 그들만의 고유진동수를 갖고 있는데 외부에서 고유 진동수와 동일한 진동수를 가진 파동을 만나면 문제가 생깁니다. 일반적으로 물체는 서로 고유진동수가 다르고 동일한 진동수를 갖는 경우가 거의 없지만 그렇게 때문에 감쇠가 일어나 파동 에너지가 감소하기 마련입니다. 그러나 언제든 예외가 발생할 수 있는데 간혹 특정 물체.. 2021. 8. 7. 이전 1 2 3 4 ··· 9 다음